7 min read

당뇨병 전단계라면 지금부터 '뱃살' 관리해야

당뇨병 전단계라면 지금부터 '뱃살' 관리해야

비만과 관련된 여러 질병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은 당뇨병이다. 특히 비만한 당뇨병 환자는 지방세 포에서 나쁜 물질이 혈관으로 녹아들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. 이로 인해 동맥경화, 뇌졸중, 심근 경색 등의 혈관 합병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. 따 라서 당뇨병이 있다면 체중 관리 특히 복부 비만 관 리는 매우 중요하다. 최근 당뇨병의 전 단계인 전당 뇨에서 벗어나려면 체중보다 복부지방을 줄이는 것 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

당뇨 전단계에서는 체중 보다 복부비만이 더 중요

전당뇨는 공복 혈당이 정상 범위의 상한선인 99m g/dL을 넘고 당뇨병 진단 기준인 126mg/dL에는 못 미치는 경우(100~125mg/dL)를 말한다. 전당 뇨는 심장, 신장, 눈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현재 전당뇨에 처방하도록 승인된 약은 없다.

독일 튀빙겐대병원 당뇨병 연구 센터(Eberhard-Ka rls University of Tübingen German Center for Diabetes Research)의 안드레아스 비르켄펠트(A rvid Sandforth) 박사 연구팀은 전당뇨에 해당하는 성인 1,105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. 연 구팀은 참가자들에게 1년 동안 식단 개선, 신체활동 증가 등 생활 습관 개선을 주문했다. 1년 후 연구팀 은 이들 중 체중이 최소 5% 이상 줄어든 298명의 건강 상태를 평가했다.

연구 결과, 일부 참가자는 공복 혈당, 식사 두 시간 후 혈당, 당화혈색소 수치 모두 정상으로 돌아오며 전당뇨에서 벗어났다. 하지만 나머지는 체중이 빠졌 음에도 전당뇨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. 또한 혈당을 떨어뜨리는 호르몬인 인슐린 분비량은 두 그룹 모두 변함이 없었다. 그러나 전당뇨에서 벗어난 그룹은 인슐린 민감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.

연구팀은 "두 그룹 모두 체중은 비슷하게 줄었지만 전당뇨에서 벗어난 그룹이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복 부지방을 크게 감량했기 때문"이라고 설명했다. 결 과적으로 전당뇨에서 벗어난 그룹은 2년 후 당뇨병 발생률이 실패 그룹보다 73% 낮았다. 이번 연구는 당뇨 전단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체중보다 복부 지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증명했다. 또한 복 부지방을 줄였을 때 신장 손상을 보여주는 수치도 낮아지고 혈관 건강도 개선됐다. 이와 별개로 당뇨 발병의 중요한 위험 인자인 지방간 감소는 두 그룹 의 차이는 없었다. 연구팀은 복부지방 감소를 위해 허리둘레를 여성은 최소 4cm, 남성은 7cm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.

이번 연구는 영국 의학저널 '랜싯 당뇨병과 내분비학(Lancet Diabetes and Endocrinology)'에 최근 게재됐다.

​​

당뇨병 환자, 복부비만 심할수록 신경교종 발생 위험 높아

복부비만은 당뇨병 전단계에서 당뇨병에 악영향을 끼치지만, 당뇨병을 진단받았을 때 복부비만의 정도 는 악성 뇌종양 중 하나인 신경교종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.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고은희·조윤경 교 수,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팀은 20세 이상 당뇨병 환자 189만 명을 최대 10년 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, 복부비만이 심할수록 신경교종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 다고 밝혔다.

심한 복부비만(허리둘레 남성 100cm, 여성 95cm

이상)의 경우 복부비만이 아닌 환자에 비해 신경교 종 발생률이 최대 37% 높게 나타났다. 특히 65세 미만의 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보다 복부비만에 의한 신경교종 발생률의 증가 정도가 16% 더 높게 나타났다. 2019년 기준 우리 나라 성인의 복부비만율은 약 24%인데, 당뇨병 환 자의 경우 약 63%로 당뇨병 환자의 복부비만율이 약 2.6배 높다.

악성 뇌종양인 신경교종은 대부분 초기에 특별한 증 상이 없어 늦게 발견되다 보니 2년 생존율이 약 2 6%일 정도로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. 따라서 발생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, 이번 연구 결 과로 당뇨병 환자는 복부비만 관리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.

고은희 교수는 "이번 연구는 대규모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비만과 신경교종 발생 사이의 상관관 계를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, 신경교종의 정확 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지방세포가 체내 염증 반응 을 유발해 신경교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 인다. 당뇨병 환자는 복부비만이 생기지 않도록 평 소 매일 30분씩 걷는 증 운동을 꾸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"라고 조언했다.

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'플로스 원(PLoS On e)'에 최근 게재됐다.

​​

복부비만 줄이려면 유산소 운동해야

비만한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 조절은 아무리 강조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. 지나친 탄수화물 섭취를 피 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통곡류, 콩류, 채소, 유제품 형태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. 과일도 제 한적으로 섭취하고 음식을 갈아서 먹는 것은 자제해 야 한다. 고칼로리 음식을 제한하면서 하루 500Kc al 정도의 섭취를 줄이면 복부지방 및 허리둘레 감 소에 효과 있다.

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. 주로 일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걷기나 자전거 타기, 수영, 가벼운 등산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으며 하루 30분~1시 간씩 일주일에 5회 이상 실시하는 것이 좋다. 당뇨 환자는 특히 근력운동으로 체지방을 줄이고 근육량 을 늘려서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. 체 성분 검사로 본인의 체지방 및 근육량을 확인하는 것도 좋다.

#혈당관리#혈당스파이크#전당뇨#혈당다이어트#당뇨전단계#건강검진#혈당#당뇨음식#전당뇨음식#글루코핏#공복혈당#공복혈당장애